[플데]데이터엔지니어링19기/파이썬

[1주차 파이썬 +1] 4장 변수와 자료형

혜o_n 2022. 12. 20. 18:00

4.1 변수

 

변수란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간!즉, 데이터를 변수에 할당한다는 것 

 

예를 들어

abc라는 변수는 하나둘셋 이라는 데이터를 저장한 공간!!

=> 변수에 자료를 할당하고, 변수를 불러 값을 출력

 

** 변수 만들 때 주의할 점

1. 변수명은 문자, 숫자, 밑줄기호를 이용하여 만들 수 있다.

2. 숫자로 시작할 수 없다.

3. 대소문자 구별

4. 공백은 사용 불가

5. 밑줄 이외의 기호(%, & 등) 불가

6. 예약어는 사용 불가

( 예약어란 True, False, and, or 등 python에서 미리 선점하여 사용중인 키워드 )

 

4.2 문자열(Str)

 

기본 데이터 타입에는 정수(int), 실수(float), 문자열(str), 불리언(boolean) 

 

문자열(str)이란 복수개의 문자를 순서대로 나열한 것!

type은 str

문자열은 큰따옴표(") 또는 작은따옴표(') 사이에 문자를 넣어 만든다.

 

삼중따옴표를 활용하면 여러 행에 걸쳐 문자열을 표현할 수도 있다!

삼중 따옴표는 주석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는 점

 

 

문자열 다루기

* 문자열의 덧셈과 곱셈

문자열의 곱셈은 곱한 숫자만큼 반복하는 것

 

4.3 리스트(List)

 

리스트(List)를 통해 데이터를 묶어놓으면 많은 데이터를 한꺼번에 처리할 수 있어 편하다.

리스트는 대괄호([ ])를 사용하여 표현한다.

리스트의 type = list

** 리스트의 특징

 

● 인덱스(순서)가 존재!

인덱스는 1이 아닌 0부터 시작

-1번째 인덱스는 마지막 요소를 의미한다.

 

 

● 다른 타입끼리도 생성이 가능하다.

 

리스트 다루기

 

 새로운 데이터 할당

 

대괄호[] 안에는 index number가 들어간다.

 

● 리스트 중 일부만 가져오기(slicing)

 

리스트[ i_start : i_end : step ]

 

i_start, i_end, step은 각각 인덱스의 시작, 끝, 증가범위를 의미

범위를 지정하면 i_start부터 i_end - 1까지의 리스트를 반환한다!

(생략하면 i_start = 0, i_end = 1, step = 1로 간주)

 

● 리스트에서 항목 삭제하기(del)

 

del은 파이썬이 자체적으로 가지고 있는 함수

사용법 ==>  del 객체  

 

● 리스트에서 항목의 존재 여부 확인하기(in)

 

in은 bool로 반환을 한다

사용법 ==> 요소 in 객체

 

● 리스트 메서드 활용하기

 

자료형.메서드 이름()

변수형.메서드 이름()

(콤마(.)는 선언)

 

 

● 리스트 관련 함수

 

객체.append(b)   =>  마지막에 b라는 항목 추가
객체.insert(a, b)   => a번째 인덱스에 b라는 항목 추가
객체.extend([a, b, ... ])   => 여러개의 항목을 마지막에 추가
객체.remove(a)   => 첫번째로 일치하는 항목을 하나만 리스트에서 제외
객체.pop()   => 마지막 항목을 리스트에 제거한 후, 제거한 마지막 항목을 output으로 반환
객체.index(a)   => a라는 항목의 인덱스 넘버를 반환
객체.sort()   => 리스트의 요소를 순서대로 정렬(오름차순)
객체.count(a)  => a라는 인자를 넣어주면 리스트에서 a라는 원소의 개수를 센다 
객체.reverse()   => 리스트의 순서를 반대로 뒤집는다